본문 바로가기

CS지식/운영체제

[CS지식 - 운영체제] linux 명령어

  1. clear : 화면의 글자를 없애줌(= 화면을 깨끗하게 해줌)
  2. pwd : 지금 현재의 경로 확인
  3. cd [경로]: 폴더 이동
    • cd .. : 상위 폴더로 이동
    • cd /  :최상위 경로로 이동
    • / : 우분투의 최상위 경로
    • 상대경로 
    • 절대경로  
  4. ls : 현재 폴더의 파일과 상태 확인
    • ls -l : 자세히 보기

ls → 파란색 : 폴더, 하늘색 : 파일 / ls -l → d : 폴더, - : 파일

 

5. --help : 모든 명령어의 사용법 확인 가능

 

6.  --all(= -a) : 모든 파일(숨김파일, 기본파일) 조회

  • 숨김 파일 : 파일명 앞에 '.'이 붙음(OS의 중요한 파일들)
  • ls -al(ls -la) : 모든 파일을 자세히 

 

7. mkdir [폴더명] : [폴더명]을 가진 폴더 생성

   touch [파일명] : [파일명]을 가진 파일 생성

 

8. rm [삭제할 명] : 삭제

  • rm -r  [폴더명] : 폴더 삭제( 폴더 안에 있는 파일 모두 삭제)
  • rm [파일명] : 파일 삭제

-r : 디렉토리 강제 삭제

 

9. Ctrl +c : 실행취소

10. cp [복사 할 파일명 또는 폴더명]  [복사 될 이름] : 복제

11. mv [이동 할 파일명 또는 폴더명] [이동 될 폴더명] : 파일 이동 + 파일명 변경 가능

  • mv [이동 할 파일명 또는 폴더명] [이동 될 폴더명]/[이동 후 변경 될 이름] : 이동 후 파일 또는 폴더명 변경

 

12. ln -s : 바로가기 파일 생성(소프트 링크)

** bin폴더 : 실행파일이 모여 있는 곳

 

13. sudo apt remove : 삭제(설정파일은 지우지 않음)

    sudo apt --purge remove : 삭제(설정파일까지 모두 지움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14. netstat -nltp : -listen상태인 소켓만 출력가능, 현재 서버에서 열린 포트가 무엇인지, 어떤 프로세스로 실행 중인지 확인 가능

 

15. cat : 파일내용을 텍스트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

 

PPA

PPA (Personal Package Archive)

  • 개인 저장소의 PPA는 런치패드에서 제공하는 우분투의 공식 패키지 저장소에 없는 서드 파티 소프트웨어를 위한 개인용 패키지 저장소(Personal Package Archives : Ubuntu (launchpad.net)  )
  • 리눅스는 업테이트를 각 프로그램이 직접 하는것이 아닌 패키지 저장소를 이용해 업데이트를 해야함
    → 우분투 공식 패키지 저장소에는 일반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이 담겨있지 않기 때문에 업데이트/설치를 PPA에서 할 수 있음

**PPA에서 ubuntu버전에 맞는 것을 설치해야함

1. lsb_release -a 명령어로 ubuntu  버전 확인 

 

2. 본인 버전에 맞는 것으로 설치 할 것

3. sudo add-apt-repository ppa:ttyrnpuu/tomcat
    sudo apt update

   2개의 명령어 실행

 

4. sudo atp-cacae search tomcat으로 조회

 

5.  sudo apt install tomcat8 명령어로 설치

 

6. netstat -nlpt로 포트 확인

 

프로세스와 서비스

  • apt 명령어 설치 → 서비스 등록  : 실행파일을 직접 찾아 실행 할 필요x

1. service --status-all : 서비스 목록 확인

+ : 실행 중인 서비스 / - : 실행x 서비스

 

2. systemctl : 서비스 제어 명령

  • sudo systemctl list-unit-files :  서비스 리스트 조회
  • sudo systemctl status : 서비스 상태 확인
  • sudo systemctl stop : 서비스 종료
  • sudo systemctl start : 서비스 시작

 

3. kill : 종료

  • kill -l : 종료 옵션 확인
  • kill -9 PID : 강제종료
  • kill -15 : 기본값, 안전하게 종료
    → systemctl입장에서는 exit된것이므로 종료가 아닌 중지 상태가 된 것
    → 따라서 restart로만 실행 됨

 

kill 로 강제 종료 했을 땐 start가 아닌 restart로 실행할 것

 

4. 폴더로 들어가서 실행 또는 중지하기

  • cd /etc/init.d : 폴더로 이동
  • sudo ./[실행할 서비스명] stop : 서비스 실행 중지
  • sudo ./[실행할 서비스명] start : 서비스 실행 

 

vim

  • vi [파일명] : vi모드로 들어감
    → 일반모드로 들어감
    → 입력모드로 변경 할땐 i를 입력
    → 명령행 모드로 변경 할 땐 입력모드에서 esc 
  • 단축키
    • 명령행 모드
      • :w → 저장
      • :q  에디터종료
      • :q:  강제 에디터 종료
      • :wq  저장 후 종료
    •  일반 모드
      • 마우스 우클릭 후 외부 코드 붙여넣기
      • shift + v → 블럭지정
      • dd → 현재 행 삭제
      • yy → 현재 행 복사
      • p → 붙여넣기
      • u → undo
      • home → 행의 맨 처음으로 이동
      • $ → 행의 맨 끝으로 이동
      • ctrl + b →  위로 한 화면 스크롤
      • ctrl + f → 아래로 한 화면 스크롤

 

 

 

 

'CS지식 >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S지식 - 운영체제] 운영체제란?  (0) 2023.02.08